유튜브 쇼츠 음원수익 정산플랫폼 비교

25.08.19 / JAY

유튜브 Shorts 음원 수익 정산 플랫폼은 일반적인 유튜브 광고 수익(AdSense)과는 별도로, 크리에이터들이 음원 사용에 따른 저작권료·수익 배분을 정산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3자 서비스 또는 유통사의 시스템을 말합니다.


P1. Shorts 음원 수익 정산 구조 개요

  • 유튜브 Shorts의 특성
    • 숏폼 영상은 배경음악, 짧은 클립, 밈 사운드 등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음.
    • 이때 음원 권리를 보유한 저작권자(작곡가, 가수, 레이블, 퍼블리셔 등)에게 저작권료/저작인접권료가 발생.
  • 정산 방식
    • 유튜브는 Content ID와 제휴사(디지털 음원 유통사, 저작권 신탁사 등)를 통해 발생한 광고 수익과 Shorts 보너스 수익을 추적.
    • 음원을 등록해둔 유통사가 크리에이터 계정과 연동해 저작권자 몫크리에이터 몫을 분배.
    • 보통 60:40, 70:30 비율로(유통사 정책에 따라 다름) 나눠짐.
  • 크리에이터의 역할
    • 직접 음원을 제작하거나, 유통사/배급사를 통해 음원을 등록.
    • 다른 사람이 해당 음원을 Shorts에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수익이 정산됨.

즉, Shorts 음원 = 디지털 싱글처럼 발매 후, 다른 크리에이터들이 쓰면 쓸수록 저작권료가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많은 유튜버·아티스트들이 이용하는 주요 플랫폼

노트북LM: 2025 JAY의 유튜브 대박전략 공부노트

노트북LM 기반으로 구성한 ‘2025 JAY의 유튜브 대박전략 공부노트’에 따르면 유튜브 쇼츠(Shorts)를 통해 음원 수익을 얻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거나 언급된 음원 플랫폼은 콘샐러드 (Consalad)짤 스튜디오 (Jjal Studio), 그리고 **사운드 리퍼블리카 (Sound Republica)**입니다.

각 플랫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콘샐러드 (Consalad)

    ◦ 과거에는 조회수당 0.2~0.3원 수준의 음원 단가를 지급하여 유튜브 조회수 수익보다 많았다고 언급됩니다.

    ◦ 하지만 최근 음원 단가가 조회수 1회당 0.06원으로 대폭 하락했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별다른 대응이 없는 상태입니다.

• 짤 스튜디오 (Jjal Studio)

    ◦ 최근 음원 단가 폭락에도 불구하고, 주간 정산 및 추가 정산 이벤트를 통해 조회수당 수익을 0.1원까지 인상한 상황입니다.

    ◦ 사운드 리퍼블리카에 비해 채널 승인 조건이 없거나 매우 관대하여 새로 개설한 채널도 바로 승인이 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사운드 리퍼블리카 (Sound Republica)

    ◦ 기존 음원 업체들과는 다른 독특한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리스팅된 음원 중 원하는 곡의 소유권을 이전받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이 방식으로 음원의 저작권자가 되면, 유튜브뿐만 아니라 메타(Meta,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및 틱톡(TikTok)에서도 발생하는 음원 수익과 저작권 수익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 특히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음저협)로부터 저작권 수익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메타와 틱톡에서도 음원 사용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언급됩니다.

    ◦ 수익 정산은 유튜브의 경우 약 2개월 뒤, 메타 및 틱톡은 약 3개월 뒤에 이루어지며, 저작권 수익은 1년 뒤에 지급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하지만 혜택이 많은 만큼 채널 심사 조건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모든 채널의 총 조회수가 천만 회가 넘어야 하는 등 매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이는 드라마, 영화, 예능 불법 콘텐츠 채널을 필터링하고 양질의 채널만 받으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 음원 개수가 제한적이며, 중복 사용이 불가능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어울리는 음원을 찾지 못하면 업데이트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 수 있다는 리스크도 있습니다.

유튜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 음원 플랫폼을 통해 배경 음악(BGM)을 영상에 사용하고, 조회수에 따라 음원 사용료를 수익으로 정산받습니다. 또한, 유튜브 자체적으로는 제품 태그 시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에 있는 원본 사운드나 음악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라이선스 음악이나 리믹스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 ‘제품 보기’ 라벨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합니다. 하지만 이는 제품 태그를 위한 것이며, 직접적인 음원 수익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글로벌 대표 플랫폼

  1. DistroKid
    • 인디 아티스트들이 가장 많이 쓰는 글로벌 음원 배급사
    • 유튜브 Shorts, TikTok, Instagram Reels 등 숏폼 플랫폼 자동 연동
    • 100% 저작권 유지 + 연간 정액제 모델 (월정액/연간 $22.99부터)
  2. TuneCore
    • 글로벌 3대 유통사 중 하나 (Believe 산하)
    • 유튜브 Music 및 Shorts, TikTok, Spotify 등 전세계 스트리밍 서비스 커버
    • 곡 단위 등록 & 수익 100% 아티스트 귀속
  3. CD Baby
    • 독립 뮤지션/유튜버들이 가장 오래 사용한 디지털 음원 배급사
    • 유튜브 Content ID 자동 등록 → Shorts 사용 수익 정산 가능
    • 수익 분배는 아티스트가 거의 전액 보유

한국·아시아 기반 플랫폼

  1. SOUNDROP (사운드롭)
    • 커버송/OST 위주 유튜버들이 즐겨 사용
    • 커버곡 라이선스 처리 + 유튜브 Shorts 수익 분배 지원
  2. FUGA / The Orchard / Believe Korea
    • 국내 아티스트와 인플루언서들이 글로벌 시장 노출할 때 활용
    • 유튜브 Music / Shorts 공식 파트너사
  3. Vibe, Melon 등 로컬 유통사 제휴
    • 국내 메이저 음원 유통사(지니, 카카오엔터, CJ ENM 등)도 유튜브 Music/Shorts 제휴 중
    • 하지만 보통 대형 아티스트 중심이라 인디 유튜버는 DistroKid/TuneCore를 더 많이 씀

유튜버에게 추천하는 전략

  • 본인 제작 음원 활용: DistroKid이나 TuneCore 통해 음원 배급 → Shorts에 사용 → 다른 유튜버가 쓸 때마다 수익 발생
  • 커버곡 크리에이터: Soundrop 활용 → 합법적으로 커버 등록 + Shorts 수익 정산 가능
  • 브랜딩: “내 음원을 밈화”하는 전략 → 짧고 중독성 있는 구간을 유튜브 Shorts 라이브러리에 배포 → 자연스러운 바이럴

👉 정리하면,

  • DistroKid / TuneCore / CD Baby가 글로벌 유튜버들이 가장 많이 쓰는 Shorts 음원 수익 정산 플랫폼 Top3이고,
  • 커버송 위주라면 Soundrop을 강력 추천드려요.

P2. 음원 플랫폼 활용 예시: DistroKid를 통한 음원 등록 & Shorts 배포

쇼츠 영상에 음원 적용하고 수익 정산받는 절차

  1. DistroKid 가입
    • distrokid.com 에 가입 → 연간 정액제 플랜 선택 (연 $22.99부터).
    • 한 번 가입하면 무제한 곡 등록 가능.
  2. 음원 업로드
    • 완성된 오디오 파일(WAV/MP3) + 앨범 커버 이미지 업로드.
    • 아티스트명, 곡 제목, 장르, 발매일 등 메타데이터 입력.
  3. 배포 채널 선택
    • DistroKid는 기본적으로 YouTube Music, Spotify, Apple Music, TikTok, Instagram, Tidal 등 수십 개 플랫폼에 배포.
    • 옵션 중 “YouTube Music / Shorts / Content ID” 선택 → 유튜브 Shorts 라이브러리에 자동 등록됨.

유튜브 Shorts에 음원 적용하는 방법

  • 유튜버(본인 혹은 다른 크리에이터)가 Shorts 업로드 시 음악 선택 단계에서 내 곡을 찾을 수 있음.
    • “음악 추가” → 내 아티스트명/곡명 검색 → 배경음악으로 삽입 가능.
  • 영상이 업로드되면, Shorts 하단에 **“🎵 곡 제목 – 아티스트명”**이 자동 표기 → 곡 라이브러리로 연결됨.
  • 다른 사람들이 내 음원을 선택해 사용할 경우에도 자동으로 추적 & 수익 정산.

수익 정산 구조 (DistroKid × YouTube Shorts)

  1. 수익 발생 경로
    • 내 음원이 Shorts에 사용된 영상에서 광고 수익이 발생 → 유튜브 → DistroKid → 아티스트 순서로 정산.
    • 다른 크리에이터가 내 음원을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저작권 수익 발생.
  2. DistroKid Content ID 서비스
    • DistroKid는 YouTube Content ID와 연동되어, 내 음원이 포함된 영상에서 발생한 수익을 자동 추적.
    • Shorts뿐 아니라 롱폼 영상에서도 내 음악이 쓰이면 동일하게 수익 반영.
  3. 정산 비율
    • DistroKid는 수익의 100% 아티스트 귀속을 표방 (단, Content ID 기능은 연 $4.95 추가 옵션 필요).
    • 실제로는 유튜브와 배급사 간 수수료가 일부 있지만, 아티스트 입장에서는 DistroKid에서 표시된 금액 전액을 받는 구조.
  4. 지급 방식
    • 수익은 DistroKid 계정 대시보드에서 확인 가능.
    • 매달 집계 → 최소 출금 한도 없이 PayPal, 은행 계좌 등으로 출금 가능.

요약된 워크플로우 (유튜버 → 수익 정산)

  1. 🎶 음원 제작 → DistroKid 업로드
  2. 🌍 배포 채널 선택 → YouTube Music & Shorts 포함
  3. 📱 Shorts 제작 시 음원 적용 → “내 곡 검색 후 추가”
  4. 👥 다른 유튜버들도 내 곡 사용 → 자동 저작권 추적
  5. 💵 DistroKid Content ID로 수익 집계 → 매월 정산

👉 쉽게 말해, DistroKid를 쓰면 내 음악이 유튜브 Shorts “음원 라이브러리”에 올라가고, 누가 쓰든 자동으로 광고 수익이 내 계정으로 들어오는 구조입니다.

Leave a Reply